라레기 커뮤니티 시스템에 바라는 점
사진 Hot문의넣엇음 문의방향으로 쿠사리x
거의 모든 의견이 주관적이라, 틀린 부분에 대한 지적은 환영합니다.
(근거없는 무지성 억까는 수정/답변드리지 않습니다)
A. 커뮤니티 시스템의 문제점
1-1. 친구(B)
친구창에 친구를 등록하고, 채널 변경이나 인던 입장을 하고 나서, 어떤 친구가 들어와있는지 실시간으로 확인이 되지 않습니다. (심지어 레벨도 초월레벨이 아닌 캐릭당만렙 235기준으로 표시됩니다)
그래서 이번 크로스타임 이벤트 같은 경우에 저는 친구창보다는 길드 기능을 사용하여, 아 얘가 들어와서 뭘 하고있구나! 지금 얘 레벨링을 보니 적당히 하고 있구나! 를 파악했고,
접속확인과 소통 또한 더욱 편하게 이룰 수 있었습니다.
또한 친구 등록은 참 쉬운데 말이죠, 나중에 가면 누가 나를 친삭했는지 알 길이 없습니다.
심지어 옛날에 생성했던 캐릭터는 들어갈때마다 친구채팅이 작동은 하지만, b키를 눌렀을때 아무도 상단에 뜨지 않습니다.
그렇다면 삭제당한 나는 계속 그 사람이 친창에 남아있지만, 그 사람은 친창이 한칸 더 비게 되는거죠.
이럴거면 친구 최대 제한은 왜 만든걸까요?
1-2. 친구(B)의 해결책
첫번째 문제점에 대해서는, B키를 눌렀을때 발생하는 레이턴시를 줄여야 된다고 생각합니다.
또한 친구 기능을 "계정당 공유"로 만들거나, 길드의 기능처럼 "해당 유저의 초월레벨" 또한 같이 모니터링이 되었으면 합니다.
친구 기능이 계정당 공유로 바뀌게 되면, 캐릭터 이름이 계속 바뀌게 되어서 알아보기가 힘든 경우가 생길텐데, 그럴때에는 테일즈런너의 메신저같은 메모 기능이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이처럼 해당 유저의 닉네임 옆에, 괄호로 누구인지 구분할 수 있도록 메모 기능이 있었으면 합니다. 중요해서 두번말함
두번째 문제점에 대해서는, 삭제가 된다면 "ㅇㅇ님이 친구목록에서 삭제되었습니다"라는 우편을 보내거나,
위에서 말했던 레이턴시를 줄이는 동시에, 삭제됐을 때 내 친창에서도 같이 없어지기만 해도 훨씬 편합니다. 불필요한 칸을 비우는 데 상당한 도움이 되겠죠.
2-1. 길드(G)
저번에 했었던 길드 리메이크때의 제 반응은 꽤나 괜찮았습니다 (몬스터볼 사태가 일어난것만 빼면요)
다만 라테일이라는 게임의 특성상 한 유저당 한 캐릭터만을 키우는 경우는 굉장히 드문데,
같은 길드에 1계정당 1본캐 2부캐정도로 나누어서 운영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래서 길드 하나에 약 30명+@정도밖에 들어갈 수 없고,
나머지 부캐나 뉴비는 스킬레벨이 본길드랑 비교해서 하자가 있는 부길드에 들어가거나,
자유가입길드로 들어가서 무료길포봉사를 하게 됩니다. (하지만 주간 길드 보상은 1캐릭터밖에 받을 수 없죠)
그리고 길드 작물수확같은 경우에는 매일 하려고 한다면,
길드원 전체가 자발적인 봉사를 해주거나, 혹은 특정 몇명에게 부담이 쏠릴 수 밖에 없습니다. (그리고 이미 지갑으로 졸업한 사람들은 참여하지 않는 경우가 허다하죠)
그러면 일반적인 길드 인원이 약 20~30명가량이라고 쳤을 때, 접속이 힘들거나 안 온 사람 + 이미 졸업한사람을 합치면 10~16명정도 되는데,
이 수가 빠지게 되면 타격수가 많은 특정 직업이 같이 있지 않은 한 빠르게 끝나지 않습니다.
또한, 작수는 퇴근시간대나 접속시간이 겹치는 시간대에 주로 하게 되는데, (21시~24시경)
허리~후반부유저는 작수가 끝나고 난 뒤 아발40% 버프때문에 가게 되고,
뉴비~중반부유저는 작수가 끝나고 난 뒤 코인 단 100개를 얻게 됩니다..
이 코인수가 적은건 아니지만 사람을 모으고 / 자금으로 작물을 심고 / 작수 중 팅기는 경우 등등이 많아서 생각보다 지연시간이 많습니다.
(뉴비입장에선 버닝퀘 한두개 더, 허리입장에선 헌터퀘/초인퀘 세네개 더라는 입장이죠)
2-2. 길드(G)의 해결책
친구(B)에서 제시했던 의견과 마찬가지로, 길드 가입의 "계정 당 공유화"가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이렇게 되면 굳이 부길드를 팔 필요도 없이 평시보다 더욱 많은 인원을 수용할 수 있으며,
다캐릭을 통한 길드포인트 노가다 또한 어느정도의 천장을 맞춰서 생각하는게 좋겠죠.
물론, 부길드와 자유길드들이 좋지 않다~ 라고 말하는것은 아닙니다.
다만 부길드/자유길드에 뉴비들이 들어가, 질문사항같은 것들이 있어도 유저의 부재와 소통의 부재로 질문하지 못하고 폐사하는 경우가 허다하기 때문이죠.
그리고 작수같은 경우는 엘리소모 컨텐츠로, 타 게임들과 비슷하게 매일 일정량의 엘리를 소모하여 길드 공헌도(기포x)를 수급하여,
(하루에 약 5천~8천정도면 적당하겠죠. 여럿이서 모으면 작수가 더 낫겠지만, 작수가 힘든 길드는 무조건 존재합니다.)
그 공헌도를 길드 코인이나, 길드의 아발물약 등등으로 교환을 할 수 있게끔 하였으면 좋겠습니다.
또한 길드미션의 경우는 매주 보상을 얻는다고 해봐야 고작 상자 3~5개와 쓸데없이 많이 쌓이는 교환권, 그리고 타이틀 습득서입니다.
상자와 타이틀 습득서는 큰 문제가 없다고 생각하지만, 교환권같은 경우는 모아서 상자를 바꾸거나 해도
어차피 거의 길드음식이나 재료만 튀어나오고, 길드코인의 수급은 거의 작수나 한정판매밖에 없는게 현실입니다. (길드장비 ㄹㅇ 안 떠요)
깡교환권, 길코+교환권으로 상자를 바꿀 수는 있지만, 정작 코인의 수급은 되지 않으니,
길젬(관통작하다 다터짐)/길악(그냥안붙음)/유물(비싼데그냥안붙음)을 다 맞춰야 될 뉴비입장에선 굉장히 막막하겠죠.
그러니 교환권을 비율이 좀 창렬이어도 괜찮으니 코인으로 교환할수 있게끔 되었으면 좋을 것 같습니다.
3. 채팅창
일단 채팅창은 좀 많이 했거나 아는사람들은 다 시스템메시지가 나오는 창을 분리하여 사용하고 계실겁니다.
근데 모르는 뉴비는 수많은 시스템 메시지에 묻혀서 서ㅋㅋ마조차도 보지 못하는 경우가 많더군요
클라이언트 바꾸기 전처럼 그냥 "기본 세팅" 에 "시스템 메시지"가 따로 나오는 채팅창을 별도로 구사하였으면 좋겠네요.
4. 파티매칭(]) 외
게임 초반 육성구간이나 시스템을 바꿀게 아니라면 뉴비 머릿속에 이 기능을 제발 때려박아주셨으면 좋겠습니다.
버닝 이벤트를 열어놓고 운영진측은 무책임하게 자기들이 자기 게임 시스템을 설명해줄 생각을 안 하고 그저 방치하고만 있습니다.
기존 유저들에게 너무 의존을 하고있는게 아닌지? 아니면 게임에 너무 신경을 안 쓰고 계신게 아닌지? 하는 의구심이 듭니다.
비단 파티매칭뿐만이 아닌, 가이드북과 파티매칭의 사용법과 레벨대와 스펙에 맞는 인던으로 유도를 해주는 기능은 있어야 하는게 아닌가 하고 생각합니다.
5. Legeno
그리고 레전드는 용황 3판 마석 2판 회당 2판처럼 하루에 1판밖에 못하는 인던을 1판으로 줄이고, (차감서를 하나도 안 쓰면 나흘이나 걸립니다)
하루만에 끝낼 수 있되, 차라리 더 많은 뺑뺑이(레전 인던에서 제외된 초코가든, 뒤계, 석양, 금란운계, 회당보다 ez한 비공정 등)를 돌리는게 더 좋다고 생각합니다.
저번주에 차감서를 사려고 보니까ㅋㅋ 용황이ㅋㅋ 4억ㅋㅋㅋㅋㅋㅋㅋㅋ
마석이ㅋㅋㅋㅋ 5억ㅋㅋㅋㅋㅋ
회당은 6억ㅋㅋㅋㅋㅋㅋ 그냥 레전스킵권 50에 사고말지ㅋㅋㅋㅋㅋㅋ 지금은 값 내렸는데 차감서 혐사가 좀 심한거같더라구요 어이없음
아무튼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총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