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

자유

게이트키퍼의 터닝샷 쿨타임 롤백에 관한 문의

대표 캐릭터
이리스
시공간의메우메우
게이트키퍼
1,030
4

 


*버그 현상 제보시 LRF파일을 첨부하여주시기 바랍니다.

<LRF파일 경로 : C:\Games\Actoz\LaTale\Reports 혹은 수동으로 설정한

 라테일 설치경로의 Reports 폴더에 스크린샷명과 동일하게 생성>


하루1회 FAQ 같지만...적어도 지금의 밸런스 패치는 스킬 1개의 사이클로 인해

칭찬 받아도 될 패치를 역으로 욕먹고 있는 점, 실제로 진입장벽이 매우 높아진 점이 있기에 이전에도 결론은 똑같은 문의를 남겼으나 그거에 살을 덧붙여 추가로 문의를 남깁니다


1. 터닝샷 쿨타임 증가가 그렇게 치명적인가?

예 치명적입니다 게이트키퍼의 기본 딜 사이클은 

트위스트링 - 터닝샷 - 아케인게이트이며, 플레이어의 쿨타임에 따라 다르나 일반적으로 저 3가지에 게이트 탑승으로 쿨타임 1초 감소를 섞어 써야 정확히 쿨타임이 맞아 떨어짐과 동시에 GP도 유지되는 직업이었습니다 해당 과정의 쿨타임 최소 컷은 55로, 일반적으로 쿨타임 감소를 많이 챙겼네 할 수 있는 쿨타임이었고, 중간중간 링슬래시를 섞어 쓴다는 전제 하에  그보다 더 낮은 쿨타임 감소에서도 사용 할 수 있는 직업이었습니다

하지만 현재 패치로 인해 터닝샷의 기본 쿨타임이 12초로 늘어남에 따라 기존의 사이클에 변동이 생겼으며, 그렇게 찾은 결과 

트위스트링 - 터닝샷 - 라이징블레이드(방향키아래) - 라이징블레이드(방향키아래) - 아케인 게이트 - 게이트

트위스트링 - 라이징블레이드(방향키아래) - 라이징블레이드(방향키아래) - 아케인 게이트 - 게이트

이렇게 괜히 복잡한 딜 사이클이 완성되어있습니다. 이제 딜 사이클이 완성되었다고 끝 할 수 있는 문제인가 하실 수 있을 겁니다


2. 터닝샷 패치로 인한 진입장벽 상승

게이트키퍼를 키우게 되면 겪게될 진입장벽 중 하나가 게이트 적응이 힘들다입니다 주변에서 게이트키퍼를 키운다 어떻게 해야하냐는 귓을 꽤 받는 편이고 https://gall.dcinside.com/m/laf/54397 https://gall.dcinside.com/m/laf/32030 그래서 아예 이런식으로 게이트 활용법에 대한 글을 작성함에도 여전히 게이트에 적응하는 것이 어렵다고 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지금은 터닝샷 패치로 인해 바뀐 딜 사이클의 최소 쿨타임 요구치가 58로 추정되고 있으며 60.1로 실전에서 굴릴 때 경직 한번만 당해도 스킬 쿨타임이 제대로 꼬여버리는 상황이 자주 연출됩니다 https://chzzk.naver.com/video/6827263 (보스전 참고) 이쪽은 숙련도 이슈도 있겠으나 중간에 게이트와 라이징 블레이드 타이밍이 꼬여서 쿨타임이 어긋나는 현상도 꽤 연출되고 있고요


3. 사실 해당 현상은 단순히 터닝샷 하나가 죽었다는 이유로 발생한 문제가 아닙니다

스킬 쿨타임이 맞아 떨어지지 않게 된 또다른 원인에는 게이트 쿨타임 감소가 1초 -> 0.5초로 너프를 먹은 점도 있으니까요

하지만 해당 문의는 게이트키퍼의 쿨타임 감소 롤백에 대한 문의가 아니기에 일부 중요 내용만 서술하겠습니다

a. 게이트키퍼는 이전에도 쿨타임 감소 효과가 0.5초였던 적이 있으며, 당시에는 터닝샷 쿨타임이 7.5초였기에 중간에 링슬래시를 섞어씀으로써 기존의 플레이에 어긋나지 않았습니다 또한 취향따라서 게이트를 연속 2번 사용하여 기존처럼 굴리려는 플레이도 존재했고요

b. 라이징 블레이드의 유틸성 역시 펭펭이도, 각성2에 중급레벨+1도 없었음에도 속도만 느려졌다뿐 메모리얼만 최소 4레벨을 갖췄다면 y축 이동의 장점이 희석되는 것도 아니었으며, 현재는 펭펭이, 중급레벨+1로 인해 기존과 최대한 비슷하게 사용하는 것도 가능합니다

c. 솔직하게 해당 글을 작성하는 본인도 게이트 쿨타임 감소 1초는 역시 성능이 대단하다고 인지하고 있기에 0.5초가 되어도 어느정도는 받아들일 수 있습니다 비록 라이징 블레이드의 최소 메모리얼 요구치가 올라감에따라 진입장벽이 생긴다지만 보통은 부캐릭 아니라면 메모리얼은 최대한 가져가는 게 정배니까요


4. 그렇게 죽어버린 딜 사이클에서 얻은 건 이뮨인데, 게이트키퍼에게는 이뮨이 큰 장점으로 오는 직업이 아닙니다

게이트키퍼가 맞으면서 사냥하는 현상이 강한 편이나 그럼에도 이뮨이 큰 장점이 아닌 건 게이트의 존재로 이뮨 스킬이 존재하지 않아도 위기 상황을 회피할 방법이 있으며, 기본적으로 가지고있는 사생결단(이뮨), 켄시로를 통해서도 또다른 변수에 대처가 가능한 직업입니다 

물론 있으면 사용하긴 하겠죠 빅풋 이뮨 시절처럼 더 위험하게 몹 몰고 버틴다거나(영상 삭제됨), 미스틱 게이트의 이뮨을 활용해 몹몰이에 이점을 가지거나(https://chzzk.naver.com/video/6813826 6분46초쯤) GP 모자라는 상황에서 이뮨으로 버티는 등 보조스킬로써의 이점을 가지면 게이트키퍼에게 당연히 좋죠

아예 딜이 모자라 분기 각성 트리에 이뮨기가 있음에도 채용하지 않던 24.10.23 밸런스 패치 이전에도 이뮨기 없이 플레이하는데 큰 문제도 없었으니까요

하지만 터닝샷은 다릅니다 게이트키퍼의 엄연한 주력 딜링기였으며, 이뮨이 달리는 것보다 차라리 쿨타임을 줄이고 딜을 넣는 것이 실제로 다루기에도 좋고, 실제로 해당 사이클이 정형화됨에 따라 게이트 활용에 최대한 집중하는 플레이가 가능했습니다. 


5. 대미지만 보면 상향은 맞습니다

실제로 본인이 에메랄디아4의 클리어타임이 26분30초(https://chzzk.naver.com/video/6813826) -> 23분30초(https://chzzk.naver.com/video/6827261) 로 줄어들었으니까요 하지만 라테일은 단순 딜찍누 게임으로 여기기에는 모든 사람들이 최상위 스펙의 유저가 아니며, 그렇기에 어느정도 컨트롤 요소도 필요한 게임입니다 그렇기에 조작 난이도도 직업 성능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거고요

기존의 딜 사이클은 (최소 쿨타임 감소 요구치 55 (링슬래시 사용 시 50)) 트위스트링 - 터닝샷 - 아케인게이트 - 게이트 - (링슬래시) 였으며

현재의 딜 사이클은

(최소 쿨타임 감소 요구치(추정) 58) 트위스트링 - 터닝샷 - 라이징블레이드(아래) x2 - 아케인 게이트 - 게이트 - 트위스트링 - 라이징블레이드(아래) x2 - 아케인 게이트 - 게이트

입니다

당연히 GP가 유지되어야 한다는 조건으로 만들어진 사이클이고요(GP의 중요성에 대해서는 후술하겠습니다)

당장 최소 쿨타임 요구치부터 너무 높은 와중에 그마저도 특정 변수에 취약하여 꼬이는 일이 많이 잦습니다 대미지가 올랐다고 좋아하기에는 직업 난이도가 월등하게 높아졌고, 실제로 주변 게이트키퍼 유저분들도 대미지는 올랐으나 사이클이 붕괴됨에 따라 조작이 너무 어려워졌다는 평가가 대다수였습니다 특히 GP관리가 너무 어렵다는 평가도 많았으며, 위에 서술한 새로운 딜 사이클 마저도 머리 아프다는 평가를 받고 차라리 무지성으로 스킬 난사를 하고 부정러시를 하겠다는 사람도 존재했으니까요...


6. 그렇게 만들어진 GP관리의 어려움

게이트의 성능은 타직업과 비교할 수 없는 매우 뛰어난 유틸입니다 당장 https://gall.dcinside.com/m/laf/54397 https://gall.dcinside.com/m/laf/54415 해당글 처럼 회피, 이동, 몹몰이 등 여러가지 상황에서 두루두루 사용하는 스킬이고요

하지만 해당 내용들은 모두 GP가 남아있다는 전제 하에 성립이 가능합니다

게이트키퍼는 패치 이전에도 저런 정형화된 사이클이 존재했음에도 실전에서 생기는 변수로 인해 중간에 게이트를 사용하여 회피하는 등으로 인해 GP가 부족한 직업에 속해있었으며, 밸런스 상으로도 설계상으로도 이게 맞기에 GP가 부족하다 해도 받아들이는 분위기였습니다

하지만 현재의 게이트키퍼는 저 위의 사이클에 적응하지 못한다면 GP가 순식간에 사라진다는 겁니다 이쪽은 저뿐 아니라 비록 부캐더라도 최상위 스펙에 해당하시는 분도 보스전에서 GP관리의 문제를 언급하셨고, 다른 게이트키퍼 유저를 통해서도 GP가 남아나질 않는다는 평가를 들었습니다

GP가 모자라는 상황은 게이트키퍼에게 가볍게 넘길 문제가 아닙니다 게이트키퍼는 기본부터 말뚝딜 스타일이며 현재와 같이 주력기에 이뮨기가 달려있는 상황에서는 이뮨기를 필요할 때 사용한다는 선택지가 사라짐에 따라 미스틱 게이트의 흡혈, 아케인 게이트의 쉴드 정도 외에는 버틸 수단이 없으며 미스틱 게이트는 스킬계수도 그렇게 높은 편이 아니기에 사용에 장점이 있는 스킬이 아닙니다 특히 이뮨에서 흡혈로 바뀐 현재는 더더욱 그렇고요

그렇기에 GP가 없다는 건 곧 게이트키퍼의 부정러시가 시작된다는 의미를 가지며 추가로 기존에 사용하던 딜 사이클이 굴러가지 않게됨에 따라 사용함에 있어 불편한 경험을 초래하는 결과를 낳게 됩니다


7. 크게 사용하지 않던 코1, 빅풋, 미스틱 게이트의 강제 채용에도 문제가 있습니다

코어1은 어떠한 유틸도 없으나, 쿨타임이 부족한 상황 및 적어도 대다수 유저처럼 무공을 우선으로 올리는 경우 사용할 가치가 생기는 스킬이기에 조건부로 채용할 수 있는 스킬이 됩니다 다른 직타기의 스킬 계수가 낮은 점도 있으나 데미지 30%로 무시할만한 수치가 아니며 조금이나마 공중 판정을 가지기에 조건이 맞다면 안정적으로 레전드1을 넣을 수 있는 스킬이니까요

빅풋의 경우 기절 시간이 최대 2.3초에서 1.5초로 너프먹었으나 기절의 절대미스의 무시와 기절 특유의 안정성을 생각한다면 보조기로써 채용 가치는 있는 스킬입니다(다만 본인이 원래부터 CC활용을 못하는 편이라 채용을 안했을 뿐...)

미스틱게이트는 기존 이뮨의 경우 몹몰이에서도 활용하고 지형 이슈로 인한 위험한 상황 회피, GP 회복에 시간벌기 등 노각성부터 기본 이뮨이기에 각성을 안했을 뿐 만약 각성해야 이뮨이 생겼다면 채용했을 가능성이 높은 스킬이었습니다

흡혈로 바뀐 현재는 과거에도 흡혈만 믿고 버티다 죽는 경우도 꽤 겪었기에 각성조차도 채용하지 않고 있으나, 흡혈 역시 버티기에는 좋은 스킬이며 풀차지 시 기절을 걸기에 현재도 보조기로써 채용할 가치는 있는 스킬입니다

보조기는 어디까지나 메인딜링이 아닌 특정 상황에 대한 변수 타개를 위해 존재함에 따라 만약 위 사이클 이외에 보조기를 섞어쓰게 된다면 보조기가 가진 유틸의 의미가 퇴색되게 됩니다

기존이었다면 트위스트링 - 터닝샷 - 아케인게이트 - 게이트 사이클 중 문제 발생 시 상황에 따라 보조기를 사용해 GP부족 시 혹은 지형 이슈나 그 외의 변수 상황에서 사용할 수 있는 스킬이었다면

현재의 게이트키퍼는 위의 복잡한 사이클을 사용하지 않고 보조기를 섞어써서 GP를 유지시킨다면 그거 자체로 이미 딜로스가 완성되며 보조기가 가진 유틸을 제대로 활용하지 못하는 상황이 나올 수밖에 없습니다


8. 지금의 모든 상황은 터닝샷 쿨타임 롤백 하나만으로 해결이 가능합니다

터닝샷은 약 40프레임으로, 

트위스트링 23프레임, 아케인 게이트의 75프레임, 링 슬래시 약 34프레임 or 약 40프레임으로

총합 142~148프레임의 시전시간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쿨타임감소를 52%로 가정했을 때 7.5초의 쿨타임은 3.6초가 되며 이 때 필요한 프레임은 216프레임입니다

게이트 통과로 3.1초가 줄어들면 186프레임이 되며 여기에 터닝샷만 추가된다면 182~188프레임으로 일반적인 쿨타임을 보유함에도 안정적인 딜 사이클이 완성되게 됩니다

해당 사이클이 완성되면서 보조기가 가진 유틸을 특정상황에 채용하여 회피하는 상황을 만들 수 있으며

조작 난이도 감소에 따라 그만큼 사용이 어려운 게이트에 더 집중할 수 있는 상황을 연출할 수 있고

무지성 스킬 난사의 빈도가 줄어듦에 따라 GP의 관리 난이도 역시 하락하게 됩니다

터닝샷의 이뮨을 없애도 좋습니다 아예 터닝샷의 게이트 통과시 이점을 없애도 좋습니다 그만큼 터닝샷의 쿨타임 롤백은 게이트키퍼에게 단순히 스킬 사이클이 없어졌다를 넘어서서 생긴 수많은 문제를 해결할 가장 확실하면서 간단한 수단입니다

제발 터닝샷 쿨타임을 기존의 7.5초로 롤백해주세요 부탁드립니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딜 사이클을 겨우 찾아내서 굴리는 데 문제는 사라졌으나 

아무리 생각해도, 또 직접 굴려봐도, 아예 다른 분한테 여쭤봐도 지금의 상황은 

과거 로그마스터, 포스마스터 시즌 2가 아닐까 싶을정도로 스킬 1개 죽였다고 문제점이 수두룩하게 나오는 거 같아서 

문의 보냈던 내용 그대로 자게에 올립니다

MOTP 인증번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