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소대미지 효율 실전
사진
이번 실험의 경우 최소대미지 증가와 최대최소대미지의 차이가 줄어듬에 따른 실전 클리어타임에 대해 확인하였습니다.
결론은 간략하게 설명하였으며 나머지 아래 글을 읽어주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요약
1. 최대최소차이 900 -> 600
플레로마 5단계 18~20분 클리어 기준 30초 단축
노르니르의 눈물 5단계 16~18분 클리어 기준 30초 단축
아틀라스 정원 5단계 13~15분 클리어 기준 30초 단축
에메랄디라 4단계 22~24분 클리어 기준 30초 단축
2. 최대최소차이 750 -> 600
클리어타임 변화가 없을 것으로 추정됨
실제 사냥 중 상태창
해당 상태창을 공개한 목적은 위 스펙에 모든 스킬 메모리얼 5레벨, 방어구 각성(스킬 +1), 각성트리 주력스킬레벨 +1을 기용한 상태라는 점을 참고해주시면 됩니다.
최대최소 대미지의 차이는 565 를 보이며 이는 최근 정령석(165)과 안경(100)에 최소대미지가 추가되고 이에 따라 1차초월스탯의 탐욕 최소대미지- 최대대미지+를 모두 기용한 결과입니다.
*표 1
스탯명 | 상태창 | 최대-최소 | 최대/최소 비 |
최소대미지 | 5,464 | 565 | 0.906 |
최대대미지 | 6,029 |
실전에서 표시되는 대미지의 편차는 ±10억으로 보여지며, 이는 오로지 육안으로만 확인했기 때문에 부정확할수도 있다는 점을 안내드립니다.
각 스킬의 레벨
스킬 등급 분류 | 스킬명 | 총 스킬레벨 | 각성여부 | 메모리얼 | 장비각성 | 1차각성 | 2차각성 |
초급 | 승천난무 | 10 | O | 5 | |||
초급 | 무쌍난무 | 10 | O | 5 | 1 | ||
중급 | 스피릿 | 9 | X | 5 | |||
상급 | 이베이전 | 11 | O | 5 | 1 | ||
상급 | 케나인 블레이드 | 10 | O | 5 | |||
최상급 | 소울 블레이드 | 15 | O | 5 | 2 | 3 | |
최상급 | 크로스 블레이드 | 13 | O | 5 | 2 | 1 | |
*레전드 1 | 코어 1 | 84 | O | 17 | 17 | ||
*레전드 2 | 코어 2 | 67 | O | 17 | |||
*인피니티 | 파라노이아 | 0 | X | 5 | |||
*레전드 1 | 레전드 1 | 50 | O | 0 | |||
*레전드 2 | 레전드 2 | 50 | X | 0 |
위와 같은 컨텐츠 진행도를 보였을때 위와 같은 상태창인 경우 아래와 같은클리어 타임을 기대하실 수 있습니다.
*숙련도에 따라 차이가 있을수 있음
아틀라스 정원 5단계 13분 이하
노르니르의 눈물 5단계 16분 이하
플레로마 5단계 19분 이하
에메랄디아 4단계 21분 이하
에메랄디아 5단계 33분 이하
아래의 내용은 최소대미지 상승 및 최소최대 차이가 줄어듬에 따른 던전 클리어타임에 대한 변화를 2가지 사례를 통해 실험을 진행하였으며, 가능한 최소대미지의 격차만을 확인하기 위해 옵션이 가장 비슷하게 맞춰졌다는 점을 참고해주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실험 1. 최대최소차이 877 -> 최대최소차이 581 (감소량 296)
실험결과에 대해 요약하자면 플레로마 5단계, 에메랄디아 4단계 기준으로 30초 가량 단축된 것을 확인하였습니다.
상태창 기준
하락 스탯 = 근력 약 50000(7%), 최대대미지 78, 크리티컬 대미지 12, 무기공격력 25
상승 스탯 = 최소대미지 218, 고정대미지 26126
클리어타임 단축의 원인은 아래 2가지 표의 최대/최소 비가 증가했기 때문으로 보이며, 위 내용에도 간략히 서술했다 싶이 최대최소차이 581은 실전에서 ±10억의 편차를 보이며 두 장비 간 최대최소 비는 0.048 증가가 유의미하게 작용한 것으로 생각이 됩니다.
스탯명 | 상태창 | 최대-최소 | 최대/최소 비 |
최소대미지 | 5,124 | 877 | 0.854 |
최대대미지 | 6,001 |
스탯명 | 상태창 | 최대-최소 | 최대/최소 비 |
최소대미지 | 5,342 | 581 | 0.902 |
최대대미지 | 5,923 |
영상첨부
1) 클리어타임 약 20분
*평소와 다르게 스킬을 사용하게 되면서 평소보다 클리어타임이 연장됨, 추가 촬영본은 없으나 평소 19분의 클리어타임을 유지하였던 점을 서술
2) 클리어타임 약 18분 30초
실험 2. 최대최소차이 743 -> 614 (감소량 129)
2번째 실험에 대해서 참고할 점이 있다면 강화와 추가인챈트의 상태입니다.
육안으로만 판단했을때 분명 그림 3의 안경이 더 좋은 것이 사실입니다. 글을 쓰는 저도 웬만하면 3 강화된 안경이 더 좋을 것으로 판단했습니다.
다만, 실전을 돌아보고 나니 생각이 바뀌었습니다.
그림 4의 안경을 착용함으로써 1차초월스탯 탐욕 및 각성트리에서 최대대미지를 기용하는 것에 대한 부담이 줄어들기 때문에 스펙업이 될 수 있는 상황이 갖춰졌고, 동일한 강화단계로써 비교할 경우 그림 4의 안경이 더 좋을 것으로 판단이 되나, 두 안경 모두 강화하여 추가 실험을 진행해보겠습니다.
실험 결과에 대해 요약하자면 클리어타임의 변화가 없습니다.
상태창 기준
하락 스탯 = 근력 6180, 무기공격력 1617(8%+160)
상승 스탯 = 최대대미지 2, 최소대미지 132, 고정대미지 38216
원인에 대해서는 무기공격력 감소가 크기도 하지만 이를 최소대미지와 고정대미지가 상쇄시켜주었고 1번째 실험의 581의 최대최소 차이를 근거로 최대최소 차이 614는 실전에서 약 ±10억의 편차를 보이며 두 장비 간 최대최소 비는 0.021 증가이긴 하나 1번째 실험의 0.902와 0.897의 차이가 0.005로 클리어타임이 동일하게 나온 것에 대한 근거로 볼 수 있음.
스탯명 | 상태창 | 최대-최소 | 최대/최소 비 |
최소대미지 | 5,228 | 743 | 0.876 |
최대대미지 | 5,971 |
스탯명 | 상태창 | 최대-최소 | 최대/최소 비 |
최소대미지 | 5,360 | 614 | 0.897 |
최대대미지 | 5,974 |
결론
첫 번째로 썻던 공략글과 충돌될 수도 있는 부분이긴 합니다.
다만, 실전에 큰 영향을 주는 최대최소의 차이는 600(최대최소비 0.9)까지가 마지노선으로 생각이 됩니다.
이 이상 줄이는 건 실제 클리어타임에 거의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보이며, 이전 글에 작성하였던 1100~1400은 최대최소 비 0.8 수준을 유지하며, 장비를 크게 교체하지 않는 선에서 가능하기 때문에 600(0.9) ~ 1400(0.8) 차이를 권장하는 것으로 정정하겠습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